Home > 예비군 제도 안내 > 예비군 제도 > 예비역간부 진급안내
예비역간부 진급안내
목적
- 전시 소요대비 부족한 동원 예비군 간부자원 확보와
- 예비역 간부의 사기 및 근무의욕 증진
진급 방침
- 상위 계급 임무수행 고려 장기복무자 우선 선발
- 전역 당시 계급의 차상위 1계급에 한하여 진급 시행
- 예비역 진급자는 우선 동원지정하고 퇴역시까지 활용
대상
- 진급 최저복무기간 경과한 예비역 장교 및 부사관
예비역간부 진급 대상
구분 |
하사→중사 |
중사→상사 |
소위→중위 |
중위→대위 |
대위→소령 |
소령→중령 |
복무기간 (현역+예비역) |
하사로서 7년 |
중사로서 12년 |
소위로서 2년 |
중위로서 6년 |
대위로서 7년 |
소령으로서 7년 |
연령 |
만 40세이하 |
만 45세이하 |
만 40세이하 |
만 40세이하 |
만 42세이하 |
만 45세이하 |
구비 서류
- 지원서 1부, 신원진술서 1부, 개인정보수집 이용·제공동의서 1부
- 칼라사진 2매(4cm×5cm)
- 신원조사 서류는 당해연도 진급 선발 공고문 참조
진급 보수 교육
- 전시 임무수행능력 배양
- 투철한 국가관 확립 및 안보의식 제고
진급 발령/병적 정리
- 진급은 교육수료와 동시 발령하며, 장교는 국방부장관, 부사관은 참모총장이 임명장 수여
- 각 군에서 진급발령자 명부를 병무청장에게 송부하고, 지방병무청장이 진급자의 병적을 정리